본문 바로가기

주식

배당주 투자 기초 개념(배당금 지급 기준일, 배당락일, 배당금 지급일)

반응형

많은 분들이 배당금을 지급받기 위해 투자를 하실 텐데 이 글에서는 배당주 투자에서 중요한 개념인

배당금 지급 기준일(Record Date), 배당락일(Ex-Dividend Date), 배당금 지급일(Payment Date) 등에 대해서 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반응형

 

 

배당이란?

각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배당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.

배당이란 기업이 이익을 냈을 때, 이 이익을 주주들에게 다시 돌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
즉, 기업이 번 돈을 주주들과 나누는 것입니다.

이러한 배당에는 현금으로 지급하는 '현금 배당'과 주식으로 지급하는 '주식 배당'이라는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.

 

 

배당금 지급 기준일
출처 : KB 자산운용 홈페이지

 

 

 

 

배당금 지급 기준일 (Record Date)

배당금 지급 기준일은 배당금이 지급되는 권리가 있음을 판단하는 날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
즉, 이 날짜를 기준으로 주주명부에 등재되어 있는 주주에게만 배당금이 지급됩니다.

위의 그림에서는 12월 30일을 기준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참고로 위의 그림에서는 '분배'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,

이는 ETF의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며, 개별 기업의 주식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의 '배당'으로 생각하면 됩니다.

 

배당락일(Ex-Dividend Date)

배당락일은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을 말합니다.

따라서 배당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배당락일 전 날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.

 

위의 그림에서 배당락일(분배락일)은 12월 27일입니다.

따라서 배당금을 지급 받기 위해서는 12월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

배당금 지급 기준일인 12월 30일에 주식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고

결과적으로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.

 

참고로 26일에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것은 영업일 기준으로 결제까지 총 2일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. 

 

 

배당금 지급일(Payment Date)

배당금 지급일은 실제로 주주들에게 배당금이 지급되는 날입니다.

다만, 각 증권사에 따라 배당금이 실제로 지급되는 시간은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.

 

 

이상으로 배당주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드렸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.

 

 

<함께 보기>

 

 

 

국채금리 상승 시 매수해야 할 주식(리얼티 인컴, 프로로지스, 엑스트라 스페이스 스토리지)

미국 10년 국채 금리가 다시 상승함에 따라 금리에 민감한 영향을 받는 리츠 주가가 다시 하락하고 있습니다.24년은 리츠 투자자에게 쉽지 않은 한 해였습니다.하지만 우수한 리

leaderchoi.tistory.com

 

반응형